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'라방과 AI' 라이브 방송과 인공지능, 대선 후보 이야기겠죠?<br> <br>네. 이재명, 윤석열 두 후보, 갈 곳은 많고, 24시간이 짧은 요즘이죠.<br> <br>그래서 고민 끝에 각자 선택한 소통 방식입니다. <br><br>먼저 이재명 후보는 '매주 타는 민생버스', 일명 매타버스를 타고 전국을 돌아다니고 있죠. <br> <br>이동 중에는 시간을 쪼개 라이브 방송을 합니다.<br><br>[댓글 읽는 이재명]<br>"자 여러분 반갑습니다. 잘 보셨어요?<br>갤주사랑합니다 누구입니까? 하하하하<br>건강을 잘 챙기도록 하겠습니다. 나도 노안이 와서 작은 글씨가 잘 안보입니다. "<br><br>Q. 버스 안에서 라이브방송이라, 피곤할텐데요. <br><br>네. 버스를 선택한 것도 최대한 많은 곳을 돌겠다는 전략인데요. 이번 주말은 전북이었죠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어제)]<br>전북이라고 또 억울하지 않는 어디에 살고 있으나 공정한 기회를 누리고 있다고 믿어지는 그런 세상이어야 되지 않겠습니까! <br><br>Q. 고생은 하지만, 계산해보니 대선까지 13주 남았더라고요. 매주말 해봤자, 광역단체 한 번 씩도 다 못 가죠. <br><br>그래서,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'AI 윤석열'을 선보였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아바타를 만든 건데요. 오늘 선대위 출범식에서 처음 공개했는데, 보시죠. <br> <br>[AI 윤석열]<br>AI 윤석열입니다. 윤석열 후보와 너무 닮아 놀라셨습니까? AI 윤석열은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방방곡곡 국민 여러분을 찾아갈 것입니다. <br><br>Q. 비슷하긴 한데, 그래도 진짜는 아니니까요. 효과가 어떨까요. <br><br>일각에서는 윤 후보 특유의 '도리도리'를 하느냐, 안 하느냐로 구분하면 된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왔습니다. <br><br>[김병민 / 국민의힘 선대위 대변인(여랑야랑 인터뷰)]<br>"후보가 직접 못 가는 곳이라도 앞으로 ai 윤석열이 전국 각지에서 빈틈없이 유권자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." <br> <br>유세 때 각 지역 맞춤형으로 AI 윤석열이 연설도 한다는데요. <br> <br>한 표가 아쉬운 후보들, 소통 아이디어 경쟁이 치열합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더불어민주당이 당원 게시판을 닫았다는 소식은 전해드렸는데, 다시 여나요? <br><br>다시 열기는 하는데 내년 1월 1일부터입니다. <br> <br>그동안은 계속 닫아두겠다는 겁니다. <br><br>Q. 왜 바로 안 열고 다음달 1일부터 열까요?<br> <br>닉네임 대신에 실명제를 도입하기 위해 시스템 정비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에서인데요. <br><br>고용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현재 익명 당원게시판에 대해 "공론의 장 기능을 상실한 일종의 말의 배설구"라며 기존 게시판을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일시 폐쇄이긴 하지만 당 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죠. <br><br>어제 이상민 의원은 "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한 민주당에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"이라며 "게시판 재개를 촉구"했고요. <br> <br>다른 게시판에 '뭐가 그렇게 찔려서 당원들 입을 틀어막나', '게시판을 열든지 당비를 환급해 달라'는 당원들의 항의성 글도 올라왔습니다. <br><br>Q. 당원 게시판이 소통이라는 순기능도 있었지만, 문자 폭탄 같은 과격한 방식으로 제대로된 소통을 막는다는 지적도 있었죠. <br><br>일례로 2019년 공수처 법안 표결을 앞두고 당원 게시판에 처리 반대 입장을 밝힌 의원들 명단이 올라왔는데요. 이들에게 문자 폭탄, SNS 항의가 빗발쳤습니다. <br> <br>송영길 대표는 취임 후 이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밝혔는데요. <br><br>[송영길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8월)]<br>"(당원 게시판에) 실명도 아니고 누군지도 모르는 그냥 지지자들의 댓글 논란 이런 것을 저는 무시해야 한다고 보이고요." <br><br>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예의를 지키는 일, 반드시 지켜져야 하겠지요. <br> <br>이에 못지 않게 당 게시판을 선택적으로 악용하는 일도 없어져야 겠습니다.(합심노력) <br><br>Q. 소통은 형식보다 내용과 진정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김민수 디자이너